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화 고인돌, 강화 부근리 지석묘에 대해 알아볼까?

여행 이야기

by SDudio 2022. 3. 3. 17:30

본문

본 포스팅은 PC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보시면 부자연스러울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시간 용흥궁에 이어 강화도에서 또 인사드리는 SDudio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강화도 하면 빠질 수 없는 ‘고인돌’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대체 어떤 부분에서 강화도의 고인돌이 왜 유명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고인돌의 정의

우선 고인돌에 대해 알아볼까요?

그 전에 오늘날 강화도에 가면 ‘지석묘(支石墓)’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고인돌과 지석묘는 차이가 없는 같은 의미입니다. 지탱할 지(支), 돌 석(石), 무덤 묘(墓)라는 의미가 있는 지석묘는 일본과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식 표현이고, 고인돌은 순우리말 표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추가로 중국에서는 석붕(石棚), 유럽 등지에서는 돌멘 (Dolmen) 등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고인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에 성행하여 초기 철기시대까지 이어진 거석문화(巨石文化)의 일종인데요. 납작한 판석이나 덩이돌 밑에 돌을 괴어 지상에 드러나 있는 ‘괴여 있는 돌’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우리가 아는 형태가 아닌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받침돌 위에 커다란 덮개돌을 올린 탁자식 모양입니다.

 

거석문화(巨石文化) 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에 걸쳐서 유럽, 북아프리카, 인도, 만주, 한국의 각지에 분포하는 거대한 자연석으로 만들어진 유적이나 연도분(羨道墳)을 말합니다.

 

 

 


02. 국내 고인돌의 특징
(01) 세계 고인돌의 40%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이러한 고인돌은 전 세계에 약 6만기 정도 분포하고 있는데요. 그중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에 무려 4만기가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남한에서 약 3만기, 북한에서 약 1만기 - 1만 5천 기에 가까운 고인돌이 발견되었다고 하네요.

 

(02) 국내 고인돌의 분포

한반도에서 함경북도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 전 지역에 골고루 분포해있어 ‘고인돌의 나라’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고인돌이 있지만 한반도에 있는 고인돌은 탁자 모양의 고인돌 (북방식), 바둑판 모양이나 고임돌이 없는 방식의 고인돌 (남방식)로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03. 강화도 고인돌 특징
(01)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화 고인돌

대한민국에 많은 고인돌이 있지만, 그중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고인돌은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지석묘)가 있습니다. 우선 고창 고인돌 유적지의 경우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고인돌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화순 고인돌 유적지 경우 계곡을 따라 596기 고인돌 군집을 이룰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가 매우 좋다는 평가를 듣고 있습니다. 또한, 화순 고인돌은 축조과정을 보여주는 채석장이 발견되어 고인돌을 제작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인돌 유적지는 고인돌 유적의 보존상태가 좋고, 밀집도 측면이나 형식의 다양성 면에서 고인돌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습니다.

 

(02) 강화도 고인돌 유적지 특징

그 중 강화도 고인돌은 5가지 특징이 있는데요. ‘고려산 일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여러 기의 고인돌이 한 곳에 떼를 이루고 있다.’, ‘산의 경사면에 집중적으로 모여있다.’, ‘탁자식 고인돌 비중이 높다.’, ‘성혈[星穴]이 만들어져 있는 고인돌의 수가 적다.’가 주요 특징입니다.

 

성혈(性穴·星穴) 바위에 동전 크기만 한 인위적인 홈이 파인 것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바위 구멍·알구멍·알바위·홈구멍·굼이라고도 합니다.

 

(03) 강화 부근리 지석묘

그 중 강화 부근리 지석묘 (고인돌)이 가장 유명한데요. 1964년 7월 11일 사적 137호로 지정되어있을 정도입니다. 강화 부근리 지석묘는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북방식 고인돌(지석묘) 중에서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데요. 고임돌 위에 있는 덮개돌만 해도 50t이나 되는 무거운 돌이 올려져 있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강화도에는 삼거리·하도리 등지에 북방식과 남방식이 10여 기 남아 있어서 강화 부근리 지석묘(고인돌)가 만들어지던 사회의 규모를 짐작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고인돌을 시작해서

강화 부근리 지석묘(고인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강화 부근리 지석묘에서 SDudio였습니다.

 

 

 


04. 자료출처

(01) ‘위대한 문화유산 고인돌 유적’ 네이버 지식백과

2012년 3월 1일 최종 작성, 2022년 2월 14일 열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3968&cid=58840&categoryId=58856

 

(02) ‘고인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년 2월 14일 열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901

 

(03) ‘고인돌’ 위키백과

119.207.115.159, 2021년 12월 26일 최종 작성, 2022년 2월 14일 열람

https://ko.wikipedia.org/wiki/고인돌

 

(04) ‘사적 강화 부근리 지석묘(江華 富近里 支石墓)’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2년 2월 14일 열람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2301370000&pageNo=1_1_2_0

 

(05) ‘강화 부근리 지석묘(江華富近里支石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년 2월 14일 열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1531

 

(06) ‘거석기념물’ 위키백과

TedBot, 2021년 9월 11일 02시 20분 최종 작성, 2022년 2월 15일 열람

https://ko.wikipedia.org/wiki/거석기념물

 

(07) ‘[내 고장 문화유적 탐방] 173. 죽곡리 모암봉 윷판형 암각화’ 푸른신문

송은석 대구시문화관광해설사, 2021년 6월 24일 최종 작성, 2022년 2월 15일 열람

http://prsinmun.co.kr/archives/25332

 

(08) ‘한국의 세계유산,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2년 2월 15일 열람

https://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unesco/Heritage/Heritage_07.jsp&pageNo=5_2_2_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