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0) 썸네일형 리스트형 송도 센트럴파크 – 도시 속 자연의 쉼터, 숨겨진 매력 탐험기 여러분, 안녕하세요. SDudio 입니다. 오늘은 인천하면 떠오르는 장소, 그리고 연수구에 많은 분들이 방문해주시는 센트럴파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 곳은 단순히 아름다운 공원이 아니라, 현대 도시의 심장부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특별한 곳인데요. 국내 최초 해수공원 송도 센트럴파크는 인천의 미래지향적인 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 곳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도시 개발과 자연 보존 사이의 조화를 추구합니다. 특히, 센트럴파크를 따라 구성되어있는 수로는 바닷물로 국내 최초 해수공원으로 조성된 것이 특징인데요. 수로 곳곳을 걷다보면 바다생물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도심 속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센트럴파크 또한, 송도 센트럴파크는 도심 한가운데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 신호 흐름의 차이, NTSC와 PAL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SDudio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전에 배운 동영상 프레임에 이어 비디오 신호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하는데요. 신호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습니다. 그중 이번 시간에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표라고 할 수 있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PAL(Phase Alternating Line)’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참고로, 저도 공부하면서 포스팅하는 거라 반박 시 여러분들의 맞습니다. 우리들에게 친숙한 NTSC 신호는 무엇일까 NTSC는 1941년에 발표된 신호입니다. 미국 최초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이기도 한데요. NTSC 신호는 초기에는 흑백으로 신호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1950년 컬러 방송 신호를 표준화하기 .. 동영상 프레임 이해하기 - 24fps 30fps 60fps 안녕하세요. SDudio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상에 가장 기초가 되는 프레임(Frame)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프레임의 개념을 이해하고, 프레임 설정을 통해서 어떤 효과를 만들 수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레임에 대한 이해 선 프레임에 대한 개념을 알아볼까요. 영상 프레임이란 ‘영상에서 1초 동안 보이는 개별 이미지의 수’를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24fps, 30fps, 60fps를 많이 사용합니다. 프레임 속도를 구분하는 이유는 영상의 부드러운 표현과 현실감을 조절하기 위함인데요. 60fps, 120fps, 240fps를 사용하는 이유는 더욱 부드러운 영상을 만들어줌으로써 현실감 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슬로우모션(SlowMotion)와 같은 포스트 프.. 플로레도 카페 영흥점 :: 영흥도 카페에서 쉬었다가 간 이야기. 영흥도에서 미디어 교육 관련해서 업무가 끝나고, 섬이 예쁘다 보니 집에 들어가기 전 카페에서 쉬어가려고 이것저것 알아봤습니다. 영흥도에는 예쁘고 아기자기한 여러 카페가 많지만 제가 향한 곳은 ‘플로레도 카페 영흥점’에 다녀와 봤습니다. 플로레도 카페 영흥점은 저에게 여러 가지로 맞는 카페였습니다. 카페를 방문하기 전에 ’(01) 카페가 바다를 볼 수 있는 조망인가’, ‘(02) 카페의 규모가 중대형인가’, ‘(03) 섬에서 깊숙하게 들어가지 않는가’ 요소를 따져봤는데요. 하나씩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해 앞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카페 플로레도 카페 영흥점은 서해 앞바다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카페였습니다. 비록 제가 방문했을 때는 날씨가 추웠고, 이슬비가 내렸는데요. 카페 곳곳에 빈백과 테이블,.. 🔎 폴리 아티스트(Foley Artist) 직업 탐구. 여러분이 영화를 보면서 듣고 있는 소리는 대부분 재편집된 소리라는 것을 알고 있나요. 영화 ‘울버린’에서 적과 싸우는 소리나 시골의 모습을 잘 표현한 영화 ‘리틀 포레스트’에서 농사짓는 소리는 모두 폴리 아티스트(Foley Artist)라는 직업이 재가공해서 만든 소리입니다. 특히, 애초에 소리가 없는 애니메이션에서 폴리 아티스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요. 애니메이션 ‘스펀지밥’에서 징징이가 걸어 다니는 소리, 집게 사장이 가게 현금 출납기를 여는 소리 모두 폴리 아티스트가 만든 소리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대체 폴리 아티스트가 어떤 직업인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폴리 아티스트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폴리 아티스트라는 용어는 잭 폴리(Jack Foley)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1930.. 사운드 스케이프(Soundscape)는 무슨 뜻일까? 사운드 스케이프(Soundscape)는 소리 (Sound)와 풍경 (Landscape)의 합성어입니다. 주로 음향 생태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환경이나 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의 조합 (소리의 모음집)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캐나다 작곡가이자 환경 주의자인 머레이 셰이퍼 (R. Murray Schafer)에 의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사운드 스케이프가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키노트 (Keynote)’, ‘시그널 (Signals)’, ‘사운드 마크 (Soundmarks)’가 있습니다. 키노트 Keynotes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배경 소리입니다. 이는 주변 환경의 소리적 특성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면 도시를 상징하는 소리는 자동차 경적 소리와 사람들 웅성거리는 소리, 대중교.. 영화 속 사운드 구성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 요리사가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재료가 신선하지 않다면 좋은 요리를 만들 수 없겠죠. 영상 콘텐츠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배우의 연기가 뛰어나더라도 기획, 영상미와 사운드, 소품, 그래픽이 훌륭하지 못하면 그 영상은 좋은 영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영상 콘텐츠 중에 ‘영화 사운드’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가장 기초적인 내용으로 ‘영화 속 사운드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사 Dialogue :: 인물 간의 소통 :: 대사는 영화 내 인물들 간에 중요한 소통 수단입니다. 이를 통해 영화 캐릭터들의 성격과 생각, 감정, 의도가 전달됩니다. 특히, 대사는 내용이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워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캐릭터들의 말이 관객들에게 분명히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이야기.. 🌾 인천의 건강한 로컬 기업, '곡물:원'을 소개합니다. 우리 동네 인천에는 건강과 편의를 동시에 챙기는 로컬 기업이 있습니다. 그 기업의 이름은 '곡물:원’이라고 합니다. 곡물:원은 식사에센스 '곡물톡톡’이라는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잡곡 섭취방식의 혁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잡곡은 우리나라의 전통 식문화 중 하나로, 건강과 영양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잡곡을 섭취하는 방식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개인의 취향에 맞게 잡곡을 선택하고 조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업한 것이 바로 곡물:원입니다. 곡물:원의 창업자는 중학교 시절 가족의 항암 투병을 위해 요양병원 생활 중 환자들의 잡곡 섭취의 어려움을 몸소 느껴, 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최대 규모..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